COMPANY
진취, 창의, 신뢰의 핵심가치를 실천하는 모바일 카지노 게임업은 국내 레미콘과
건자재유통 분야의 1등 기업입니다.
모바일 카지노 게임뉴스
복권기금 문화행사와 함께 풍성한 한가위 즐겨요
본문
오곡과 과일이 익는 풍성한 9월에 열리는 복권기금의 다양한 문화행사로 마음까지 풍성한 한가위를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소외계층 문화 순회 사업 ‘신나는 예술여행’
‘신나는 예술여행’은 엄선된 문화예술 공연을 지원해 문화 인프라 시설이 부족한 문화 소외 지역을 직접 찾아가 공연을 펼치는 사업이다. 자세한 일정은 홈페이지(www.artstour.or.kr)와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070-4264-3601~3, 02-586-0371, 0363)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제주 민요를 바탕으로 제주의 아름다운 풍경과 삶을 다룬 창작가족극 ‘오돌또기’가 9월 9일 안중방정환지역아동센터, 10일 소망공동체, 11일 성남보육원, 14일 구리시종합사회복지관, 17일 순천 은빛마을, 24일 미타요양원에서 공연한다.
‘찾아가는 거리의 악사’는 재즈와 펑크밴드의 크로스 음악 공연으로 무대가 아닌 거리에서 열린 음악회를 연다. 관객과 함께 하는 이 공연은 11일 주택관리공단 밀양삼문휴먼시아관리소를 시작으로 27일 부산 정관휴먼시아2단지, 30일 대전 법동주공3단지에서 열린다.
예술체험단 ‘얼쑤’는 임대단지 어르신을 위한 전통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풍물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마을잔치 형태의 체험공연으로 진행한다. 12일 주택관리공단 익산부송1관리소, 13일 안산고잔1관리소, 13일 SH공사, 25일 서산 석림3동, 27일 으뜸마을을 방문한다.
지방문예회관 특별프로그램 개발지원 사업
지방문예회관은 지역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 관람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우수 공연프로그램을 지방문예회관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관람할 수 있다. 일정은 지방문예회관 홈페이지(www.gorac.or.kr)에서 확인가능하다.
서편제의 여주인공 오정해의 판소리 공연 ‘당신이 있어 고맙습니다’가 9월 10일 전남 고흥문화회관, 14일 경기 포천 반월아트홀, 29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을 찾는다.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과 함께 살아온 어머니의 삶을 그린 연극 ‘손숙의 어머니’도 9월 14일 경남 의령군민문화회관, 28일 전북 남원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한다.
공공박물관·미술관 특별전시 프로그램 지원 사업
문화소외계층에게 수준 높은 특별전시 관람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공공박물관·미술관 특별전시 프로그램 지원 사업의 자세한 일정은 블로그(blog.naver.com/kormuseum7), 트위터(twitter.com/museumlottery), 한국박물관협회(02-795-0937, 095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주역사박물관에서는 조선시대 여인들의 삶을 재조명하는 특별전 ‘조선여인의 삶’을 11월 3일까지 2~3층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출생과 혼인, 가사와 생활, 흔들리며 핀 꽃 등의 주제로 규제와 애환 속에서도 이를 꿋꿋이 이겨내고 꽃 피운 조선시대 여성의 삶과 그 문화를 느껴볼 수 있다. 문의) 063-228-6485
숲 체험·교육 사업
자연을 가까이하기 어려웠던 소외계층 청소년에게 자연과 교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2013년 나눔의 숲 캠프가 9월부터 12월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열린다. 단체신청을 받는다. 문의) www.kofofo.or.kr, 02-2285-2035
우이령사람들이 생태, 경관 보전지역으로 지정돼 태백시의 사전 출입허가를 받아야 갈 수 있는 금대봉과 검룡소, 남한강 일대를 방문한다. 9월 28일, 29일 1박2일 간 진행되며 선착순 마감이다. 문의)www.uircc.or.kr, 02-743-2625
범어청소년동네에서 진행하는 ECO 엔티어링은 소외계층, 청소년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QR코드를 활용해 숲속에서 오리엔티어링을 진행하며 숲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10월 31일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열린다. 20명 이상 단체로 신청 가능하다. 문의) www.bmswc.or.kr, 051-581-2071
산림청지정 100대 명산을 함께 등반하며 등산교육과 산림생태탐방을 실시하는 100대 명산 클린 캠프가 9월에도 열린다. 소외계층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캠프는 산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국토사랑 정신도 고취시킬 것이다. 자세한 일정은 한국 등산·트레킹 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가능하다. 문의) www.kmsc.kr, 042-672-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