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진취, 창의, 신뢰의 핵심가치를 실천하는 모바일 카지노 게임업은 국내 레미콘과
건자재유통 분야의 1등 기업입니다.
모바일 카지노 게임뉴스
[앙케이트] 우리 회사 기업문화 점수는 몇점?
본문
모바일 카지노 게임의 기업문화 수준을 구글, 페이스북 같은 세계적 글로벌 기업들과 비교하면 몇점이나 될까?
최근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의 직장인 5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창조경제시대 기업문화 실태와 개선과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은 65.7점, 중견기업 63.1점, 종소기업 57.0점으로 나타나 평균 59.2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문화점수가 이같이 낮은 원인에 대해 직장인들의 절반이상(61.8%)은 ‘상명하복의 경직된 의사소통체계’를 꼽았으며 ‘개인보다 조직전체를 강조하는 분위기’ 역시 절반(45.3%)에 육박했다. ‘부서 이기주의’(36.7%), ‘지나친 단기성과주의’(30.7%)도 30%를 상회했지만 ‘복잡한 보고체계’(15.7%), ‘연공서열식 평가와 보상’(15.6%) 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직장내 갈등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내 불통’이 가장 큰 원인으로 조사됐다. ‘직장내 상사나 선배와 갈등이 있는가’라는 물음에 직장인의 68.5%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갈등을 겪는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업무와 관련해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서’(67.2%), ‘내 담당이 아닌 업무까지 시켜서’(20.9%), ‘사적인 일까지 간섭한다고 느껴져’(9.1%), ‘회식, 야근, 주말근무 등을 강요해서’(2.8%) 등을 꼽았다.
‘당신의 직장은 보수적 기업문화를 갖고 있습니까’라는 물음에 직장인들의 71.5%는 ‘그렇다’고 응답했으며, 보수적 기업문화를 갖고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의 65.5%는 ‘CEO의 의식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리프레시공간 확보와 관련해서도 ‘카페테리아’를 두고 있는 기업은 19.6%였으며 ‘도서관’은 11.1%였다. 그러나 ‘원격근무 거점인 스마트워크센터’는 4.8%, ‘영유아 보육센터’는 4.8%에 불과했다. 특히 직장인의 81.8%는 ‘업무공간이 상사에게 노출되어 있다’고 말했다.
문화융성시대에 기업경영과 인문학의 만남도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귀사는 기업경영에 인문학을 활용중인가’라는 물음에 ‘그렇다’는 응답이 42.3%에 그쳤다. 이들 기업의 활용방식은 ‘외부의 인문학 전문가의 자문 활용’(41.0%), ‘임직원의 인문학적 소양 배양’(38.3%), ‘다양한 인문학 전공자 채용’(20.7%) 정도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 것이 업무나 승진에 도움이 되는가’라는 물음에 직장인의 80.2%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감성 등 소프트 요소가 중시되는 창조경제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차별화된 개성과 이미지를 창출하는 기업문화의 중요성이 날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기업 특유의 상명하복의 보수적인 문화를 벗어나 자유로운 의사소통,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의견 개진을 촉진하고, 실패에 대해서도 책임을 묻거나 비판하는 대신 새로운 도전기회를 주는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야 할 때이다.